교과목 소개
국내 최고의 명품보건인재를
지향하는 광주보건대학교
교과목 소개
치아형태실습 (Practice on Dental Morphology)
영구치 및 유치의 해부학적 형태를 이해하고 도해 및 실습을 통하여 형태를 익히며, 실제 보철물 제작시 응용할 수 있도록 한다.
관교의치기공학(I) (Crown and Bridge Technology I)
금속, 레진, 도재 등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치아 및 주위조직이 결손되었을 때 시행하는 고정성 보철물의 제작방법을 체계적으로 습득한다.
치과재료학(I) (Dental Materials I)
치과영역에서 사용되는 각 재료의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특성을 이해하고 취급방법을 숙지하여 향후 임상에서 치과보철물 제작시 응용할 수 있도록 한다.
치아형태학 (Dental Morphology)
영구치 및 유치의 해부학적 형태를 이해하고 도해 및 실습을 통하여 형태를 익히며, 실제 보철물 제작시 응용할 수 있도록 한다.
모형작업실습 (Practice on Model Work)
고정성과 가철성 보철물 및 교정장치를 제작하기위해 인상체에 치과용 경석고를 주입하여 각각의 보철물 제작이 용이하도록 분할, 복제 및 다듬는 과정을 체계적으로 습득한다.
관교의치기공학(II) (Crown and Bridge Technology II)
금속, 레진, 도재 등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치아 및 주위조직이 결손되었을 때 시행하는 고정성 보철물의 제작방법을 체계적으로 습득한다.
관교의치기공실습(I) (Practice on Crown and Bridge Technology I)
금속, 레진, 도재 등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치아 및 주위조직이 결손되었을 때 시행하는 고정성 보철물의 제작방법을 체계적으로 습득한다.
총의치기공학(I) (Complete Denture Technology I)
인체의 하악운동과 교합이론을 바탕으로 총의치 제작에 관한 전반적인 지식을 습득케 하여 임상에 있어서 무치악 환자의 의치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치과재료학(II) (Dental Materials II)
치과영역에서 사용되는 각 재료의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특성을 이해하고 취급방법을 숙지하여 향후 임상에서 치과보철물 제작시 응용할 수 있도록 한다.
국소의치기공학(I) (Partial Denture Technology I)
다수의 치아가 상실되었을 때 잔존치아를 이용하여 치아 및 그 주위조직을 회복하여 주는 국소의치에 대해 전반적인 지식을 습득한다.
치아형태학과 교합 (Practice on Dental Morphology & Occlusion)
영구치 및 유치의 해부학적 형태를 이해하고 도해 및 실습을 통하여 형태를 익히며, 실제 보철물 제작시 응용할수 있도록 한다.
관교의치기공학(III) (Crown and Bridge Technology III)
금속, 레진, 도재 등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치아 및 주위조직이 결손되었을 때 시행하는 고정성 보철물의 제작방법을 체계적으로 습득한다.
관교의치기공실습(II) (Practice on Crown and Bridge II)
금속, 레진, 도재 등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치아 및 주위조직이 결손되었을 때 시행하는 고정성 보철물의 제작방법을 체계적으로 습득한다.
총의치기공학(II) (Complete Denture Technology II)
인체의 하악운동과 교합이론을 바탕으로 총의치 제작에 관한 전반적인 지식을 습득케 하여 임상에 있어서 무치악 환자의 의치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총의치기공실습(I) (Practice on Complete Denture Technology I)
인체의 하악운동과 교합이론을 바탕으로 총의치 제작에 관한 전반적인 지식을 습득케 하여 임상에 있어서 무치악 환자의 의치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치과도재기공학(I) (Dental Ceramic Technology I)
치과용 도재보철물에 관한 이론적 지식을 숙지시켜 손상된 치아의 심미성과 기능성을 회복시키기 위한 도재보철물 제작 방법을 습득한다.
국소의치기공학(II) (Partial Denture Technology II)
다수의 치아가 상실되었을 때 잔존치아를 이용하여 치아 및 그 주위조직을 회복하여 주는 국소의치에 대해 전반적인 지식을 습득한다.
국소의치기공실습(I) (Practice on Partial Denture I)
다수의 치아가 상실되었을 때 잔존치아를 이용하여 치아 및 그 주위조직을 회복하여 주는 국소의치에 대해 전반적인 지식을 습득한다.
관교의치기공실습(III) (Practice on Crown and Bridge III)
금속, 레진, 도재 등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치아 및 주위조직이 결손되었을 때 시행하는 고정성 보철물의 제작방법을 체계적으로 습득한다.
총의치기공학(III) (Complete Denture Technology III)
인체의 하악운동과 교합이론을 바탕으로 총의치 제작에 관한 전반적인 지식을 습득케 하여 임상에 있어서 무치악 환자의 의치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총의치기공실습(II) (Practice on Complete Denture Technology II)
인체의 하악운동과 교합이론을 바탕으로 총의치 제작에 관한 전반적인 지식을 습득케 하여 임상에 있어서 무치악 환자의 의치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치과교정기공학(I) (Dental Orthodontics Technology I)
악골의 성장 발육 및 부정교합의 양상 등 치아교정의 기본적인 용어를 이해하고 교정장치들의 종류, 사용기구 및 장치 적용원리를 숙지하여 교정장치의 제작방법을 습득한다.
치과도재기공실습(I) (Practice on Dental Ceramic Technology I)
치과용 도재보철물에 관한 이론적 지식을 숙지시켜 손상된 치아의 심미성과 기능성을 회복시키기 위한 도재보철물 제작 방법을 습득한다.
치과도재기공학(II) (Dental Ceramic Technology II)
치과용 도재보철물에 관한 이론적 지식을 숙지시켜 손상된 치아의 심미성과 기능성을 회복시키기 위한 도재보철물 제작 방법을 습득한다.
국소의치기공학(III) (Partial Denture Technology III)
다수의 치아가 상실되었을 때 잔존치아를 이용하여 치아 및 그 주위조직을 회복하여 주는 국소의치에 대해 전반적인 지식을 습득한다.
국소의치기공실습(II) (Practice on Partial Denture II)
다수의 치아가 상실되었을 때 잔존치아를 이용하여 치아 및 그 주위조직을 회복하여 주는 국소의치에 대해 전반적인 지식을 습득한다.
구강보건학 (Science of Oral Health)
치아우식증, 치주조직질환, 부정교합, 구강암 등의 구강병 예방에 관해 교육하고 이 질병들의 역학적인 관계를 규명하고 연구하는 학문이다.
치과교정기공학(II) (Dental Orthodontics Technology II)
악골의 성장 발육 및 부정교합의 양상 등 치아교정의 기본적인 용어를 이해하고 교정장치들의 종류, 사용기구 및 장치 적용원리를 숙지하여 교정장치의 제작방법을 습득한다.
치과도재기공실습(II) (Practice on Dental Ceramic Technology II)
치과용 도재보철물에 관한 이론적 지식을 숙지시켜 손상된 치아의 심미성과 기능성을 회복시키기 위한 도재보철물 제작 방법을 습득한다.
구강해부학(I) (Oral Anatomy I)
악안면 두경부에 있는 뼈, 근육, 악관절, 혈관, 신경 등의 형태와 분포 등 구강주위의 해부학적 지식을 숙지하여 정확하고 기능적인 치과보철물 제작에 응용할 수 있다.
임시보철기공실습 (Practice on Temporary Restoration)
최종보철물을 장착하기 전 심미적인 부분과 기능적인 부분을 충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임시보철물 제작방법을 습득한다.
치과매식기공학및실습 (Dental Implant Technology)
악골에 식립된 인공치아 위에 의치를 제작하여 장착하는 지식과 기술을 습득한다.
치과교정기공실습 (Practice on Orthodontics Technology I)
악골의 성장 발육 및 부정교합의 양상 등 치아교정의 기본적인 용어를 이해하고 교정장치들의 종류, 사용기구 및 장치 적용원리를 숙지하여 교정장치의 제작방법을 습득한다.
치과기공임상실습(하계) (Clinical Practice of Dental Lab Technology)
임상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실습을 통하여 학문적 이론 및 실습을 임상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보건법규 (Health Law)
의료기사로서 준수해야할 법규를 이해하고, 법의 존엄성과 준법정신을 고취시켜 바람직한 치과기공사로서의 역할과 임무를 다 할 수 있도록 교육시킨다.
치과교정기공학(III) (Dental Orthodontics Technology III)
악골의 성장 발육 및 부정교합의 양상 등 치아교정의 기본적인 용어를 이해하고 교정장치들의 종류, 사용기구 및 장치 적용원리를 숙지하여 교정장치의 제작방법을 습득한다.
구강해부학(II) (Oral Anatomy II)
악안면 두경부에 있는 뼈, 근육, 악관절, 혈관, 신경 등의 형태와 분포 등 구강주위의 해부학적 지식을 숙지하여 정확하고 기능적인 치과보철물 제작에 응용할 수 있다.
종합기공실습 (Practice on General Crown and Bridge)
고정성 보철물 제작의 최신 기술에 대한 동향과 그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 실제 보철물 제작시 응용할 수 있도록 한다.
치과CAD/CAM이해와활용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Dental CAD/CAM)
치과용 CAD/CAM에 관한 이해와 실습을 병행함으로서 임상에서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한다.
충전기공학및실습 (Inlay Technology)
치아 경조직의 결손부위가 기능적으로 회복할 수 있도록 금속, 레진, 도재 등의 재료로 대치하는 지식과 제작방법을 체계적으로 습득한다.
특수기공실습캡스톤디자인 (Practice on Orthodontics Technology Skills)
보다 심미적인 고정성 보철물 제작을 위해 교합 및 인접치와의 관계를 정확히 숙지하고 wax-up, 매몰, 주조, 연마 등의 과정을 통해 심화된 보철물 제작법을 배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