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보건대학교 시니어운동처방학과

광주보건대학교 입학안내 위치안내

교과목소개

국내 최고의 명품보건인재를
지향하는 광주보건대학교

교과목소개

채플

이 과목은 인간, 종교, 과학, 문화 등 다양한 분야를 기독교적 입장에서 생각해 봄으로, 기독교에 대한 이해한다.

시니어운동처방학 개론 (Introduction to Senior Exercise Prescription)

시니어를 대상으로 적합한 생활습관병의 예방과 치료, 그리고 건강의 유지 증진을 목적으로 과학적인 검사와 측정을 통해 체력향상과 질병 예방 및 개선에 부합하는 운동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운동처방의 전반적인 내용을 이해하고 그 필요성을 확인한다.

보행재활방법론 및 실습 (Gait Rehabilitation Methodology and Practice)

보건의료 및 스포츠 과학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보행에 대한 관심이 증가 하고 있으며, 정상 보행자뿐만 아닌 하지(족부) 이상 보행자에게도 다양한 활동을 위한 보행 프로그램의 제공이 요구됨에 따라 Gait biomechanism 기술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수업은 인간의 원초적인 이동수단인 걷기를 이해하고 이상보행 및 노인보행장애로 인한 손상에 적용되는 재활 프로그램을 디자인하고 적용하여 보행 능력 향상을 위한 지도 및 교정능력을 함양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해부생리학 (Anatomy and Physiology)

인체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고 연구함에 있어 가장 기초가 되는 학문으로 사람의 몸의 구조를 알기 위해 몸의 각 부위의 구조와 형태, 위치, 배열의 연관성을 맺으면서 알고자 하는 학문이다.

기능해부학 (Functional Anatomy)

근골격계 해부학을 기본으로 인간의 기능적 움직임을 이해하고 이를 통하여 환자들의 기능적 문제점을 평가함으로서 임상에서 환자에 대한 평가 및 치료적으로 접근하는 방법을 익히고자 한다.

스포츠지도이론 및 실습 (Sports Guidance Theory and Practice)

스포츠 지도자가 숙지해야 할 이론적 기초를 학습하여 실제 현장에서 보다 유용하게 스포츠를 지도할 수 있는 자격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 교육을 실시하고 많은 스포츠현장에서 올바른 지도를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운동생리학 (Exercise Physiology)

인체의 움직임을 배우는 체육학도는 인체의 구조와 기능에 대하여 정확한 지식을 가져야 한다. 운동해부생리학은 인체와 관련된 기초학문으로서 여러 가지 형태의 운동으로 인해 야기되는 인체의 반응과 적응에 대해 그 원인을 규명하고, 그러한 반응과 적응이 인체의 기능적 측면, 주로 수행력과 건강 등 인체를 구성하는 각 부위의 구조 및 기능을 이해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스포츠마사지 (Sports Massage)

노화 및 운동에 의해 생긴 근육 속의 쇠퇴한 형태의 불필요한 요소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고, 피부를 쓰다듬거나, 문지르고, 주무르는 등 물리적 자극을 통해 급성피로로부터 빠른 회복과 심신의 스트레스로부터 긴장된 근육이완 등 적절한 시술방법을 습득한다.

레크레이션지도자 실습 (Recreation Leader Practice)

레크리에이션을 통하여 시니어 삶의 질을 향상 시키고, 즐겁고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레크리에이션의 개념, 가치, 목적 등 이에 대한 바른 이해를 기반으로 활용하여 지도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 능력과 리더십을 양성한다.

건강과 운동 (Health and Exercise)

좋은 건강은 우리에게 아주 중요한 것이다. 병에 걸리거나 부상을 입을 경우에만 건강의 소중함을 의지로 깨닫는 것이 보통이지만 점차 더 많은 사람들이 건강은 단순히 질병이 없는 것만이 아니라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 일상생활에서 우리들의 웰니스 수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두가지 주된 측면인 운동과 좋은 영양 섭취의 필수적인 역할이 이 강의의 주된 내용이며, 과학적 연구에 기초한 명확하고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운동, 영양 섭취, 체중감소, 건강에 관련된 잘못된 인식을 바로 잡고 운동의 기초적 지식을 습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시니어스포츠심리 (Senior Sport Psychology)

고령화 사회에 대한 사회적 관심의 증가와 더불어 노인인구증가에 따른 사회적 부담의 증대, 만성질환중심의 질병구조와 같은 노년기 건강문제는 개인적 차원에서뿐 아니라 사회정책의 중요한 대상이 되고 있다. 노인 병태생리학은 노인의 감염과 종양 같은 질병과정의 필수적인 개념을 연구하는 영역으로 계통별 질병의 원인과 예방법을 알아보고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한 운동처방 지침을 배우는데 목표가 있다.

노인병태생리와 운동처방 (Elderly Pathophysiology and Exercise Practice)

고령화 사회에 대한 사회적 관심의 증가와 더불어 노인인구증가에 따른 사회적 부담의 증대, 만성질환중심의 질병구조와 같은 노년기 건강문제는 개인적 차원에서뿐 아니라 사회정책의 중요한 대상이 되고 있다. 노인 병태생리학은 노인의 감염과 종양 같은 질병과정의 필수적인 개념을 연구하는 영역으로 계통별 질병의 원인과 예방법을 알아보고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한 운동처방 지침을 배우는데 목표가 있다.

행정기획 및 실무실습 (Administrative Planning and Practice)

기업 실무적인 방안과 기획안, 계획서 등 여러 가지 기획서 작성 실무에 관한 보고서 및 프리젠테이션 방법에 대한 이론 및 실무를 이해하고 실기 능력을 키우는데 그 목표가 있다.

시니어영양관리 실습 (Senior Nutrition Management Practice)

체력과 영양과의 관계, 에너지 소비량과 섭취량의 계산법, 각종 영양소의 활동, 스포츠맨으로서의 일상기, 합숙기, 트레닝기, 컨디션 조절기의 합리적인 영양의 섭취방법과 시합 전, 시합 중, 시합 후의 영양섭취 방법과 체중 조절법 및 피로와 영양에 관한 기본이론을 교수한다.

치매예방운동 방법 및 실습 (Dementia Prevention Exercise Method and Practice)

치매는 뇌의 신경세포가 대부분 손상되어 장애가 생기는 대표적인 신경정신계 질환이며, 노인에게 있어 가장 흔하게 나타난다. 치매는 악화되면 일상적인 일 수행, 시간 및 공간을 판단, 추상적 사고능력, 언어와 의사소통 기술에 돌이킬 수 없는 감퇴가 일어나고 성격이 바뀌며 판단력에 손상을 입는다는 특징이 있다. 이에 본 교과는 노인들의 신체적/정신적 질병 및 올바른 식습관/생활습관 등을 학습함으로서 운동을 통해 치매 관리 및 처치 방법을 학습하는데 목적이 있다.

건강체력측정 및 실습 (Health Fitness measurement and Practice)

인간의 가장 기초적인 행동체력과 방위체력을 기준으로 다양한 측정방법과 평가방안을 제시하고 노인의 건강문제해결방안을 모색하며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는 준거와 기준을 제공하고, 기본적인 체형에 따른 체력, 건강체력 및 기술체력에 해당되는 이론적 지식과 현장에서 사용할 기술 학습을 병행하여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측정평가 항목에 대하여 학습하도록 한다.

손상질환과 스포츠테이핑 (Injury and Sport Taping)

상지, 하지운동 손상에 대한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해부학적 움직임에 대한 이해와 운동수행능력 향상 그리고 운동 종목별 하체 움직임의 특성에 따른 적절한 테이핑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부상 예방, 응급처치, 재활 촉진, 재발 예방을 목적으로 노인 스포츠지도의 현장 실무에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

인지향상 운동처방 및 실습

인지 향상을 위한 1대1 기반 훈련, 특정 인지 영역에 초점을 둔 훈련, 다양한 인지 영역에 초점을 둔 포괄적인 인지 행동 재활 및 정서 관리 훈련 등을 통해 인지 향상 방법과 기술을 습득하고 이론적 지식과 현장에서 사용할 기술 학습을 병행하여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인지 향상 운동에 대하여 학습하도록 한다.

자세교정 필라테스

필라테스는 재활운동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매트 및 소도구를 이용하여 균형조절, 호흡, 정확성, 안정성 등을 향상시킨다. 이에 몸의 중심부 강화, 등의 길이 확대, 몸의 인식력 증대, 근육의 탄력성 구척, 유연성 증대의 효과를 학습한다.

질환별 시니어운동처방학 및 실습 (Senior Exercise Prescription and Practice by Disease)

시니어를 대상으로 적합한 생활습관병의 예방과 치료, 그리고 건강의 유지 증진을 목적으로 과학적인 검사와 측정을 통해 체력향상과 질병 예방 및 개선에 부합하는 운동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운동처방의 전반적인 내용을 이해하고 그 필요성을 확인한다.

시니어장애예방 및 실습

신체활동과 운동기능에 장애가 있는 시니어의 움직임을 분석하고 운동기능상의 문제점을 찾아내어 그들의 능력과 흥미에 알맞은 운동 프로그램 개발 및 방법에 대하여 학습한다.

스포츠건강산업창업

노인인구 증가에 따른 항노화산업의 활성화로 시니어의 수요와 요구에 맞춘 창업준비절차, 실무과정, 실천계획을 통해 시뮬레이션을 구현하고 창업의 기본요건 이해와 성공기업의 사례분석을 통한 경영진단요령을 학습 한다.

시니어 자세교정 이론 및 실습 (Senior posture correction theory and Practice)

좌식 생활 및 노화로 인한 근막 동통증후군과 더불어 체형의 불균형이 야기되고 이에 따라 삶의 질을 떨어지는 근골격계 질환을 가진 분들을 곳곳에서 볼 수 있다. 이러한 요구로 체형 교정과 통증 관리를 위한 이론 및 실질적 기능을 학습하여 현장위주의 실기기능 습득에 도움이 되도록 교육 및 지도가 가능한 자세교정 전문 강사 양성에 목표가 있다.

시니어 스포츠의 이해 (Understanding Senior Sport)

신체적 움직임을 그 기능별로 알아 봄으로서 그 중요성을 알아보는데 그 의의가 있다. 연령별 신체적 기능의 특성을 알아본다. 특히 노인들의 운동을 위한 몸 상태를 만들기 위한 방법 등에 대한 과목이다.

시니어 건강평가 (Senior Health Assessment)

인간의 가장 기초적인 행동체력과 방위체력을 기준으로 다양한 측정방법과 평가방안을 제시하고 노인의 건강문제해결방안을 모색하며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는 준거와 기준을 제공하고, 기본적인 체형에 따른 체력, 건강체력 및 기술체력에 해당되는 이론적 지식과 현장에서 사용할 기술 학습을 병행하여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측정평가 항목에 대하여 학습하도록 한다.

운동처방 현장실습 (Exercise Prescription Field Practice)

성인병과 운동부족으로 인한 각종 질병에 대한 최적의 운동검사 및 운동프로그램방법과 이상적인 운동처방을 위한 연령, 성별 그리고 환경등과 같은 중요한 요인들의 이론과 현장을 이해하고 실무 능력을 키우는데 그 목표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