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목 소개
국내 최고의 명품보건인재를
지향하는 광주보건대학교
교과목 소개
의학용어 (Medical Terminology)
인체 각 계통의 해부학, 질병, 처치, 수술, 검사, 중재에 관한 용어, 약어에 대하여 학습한다.
방사선물리학 (Radiation Physics)
방사선 진단, 치료 및 핵의학 분야에 관한 물리학적 기본이론을 습득하여 방사선의학을 올바로 이해하도록 한다. 물질과 방사선과의 상호작용을 다루며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 물질의 구조와 더불어 방사선의 생성원리를 다룬다.
영상정보학 (Imaging Information)
인체 내부의 해부 생리학적, 병리 조직학적, 기능 형태학적 정보를 영상으로 묘출시키기 위한 학문으로 의료영상의 행정, 처리, 평가, 시스템을 다루는 학문이다.
영상정보실습 (Imaging Information Practice)
인체 내부의 해부 생리학적, 병리 조직학적, 기능 형태학적 정보를 영상으로 묘출시키기 위한 학문으로 의료 영상의 행정, 처리, 평가, 시스템을 다루는 학문이다.
해부생리학(I) (Anatomical & Physiology(I))
인체를 구성하는 세포, 조직 및 기관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한 지식을 통하여 생체 내에서 일어나는 생명현상에 대한 기전을 학습하고 임상질환의 병태 생리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기초의학 지식을 학습한다.
방사선장치학 (Radiation Equipment)
전기 전자 회로와 컴퓨터의 원리를 이해하고, 원활한 취급 관리를 위해 전기의 특성을 이해하며 나아가 X선 장치의 기본적인 회로 구성과 그 특성을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사선관리학 (Radiation Safety Management)
진단 및 치료에 이용되는 전리 방사선의 관리뿐만 아니라 비전리 방사선의 자기파에 대한 인체 영향과 차폐 설비 및 전자파에 대한 안전 관리 영역까지 인체의 보건학적인 측면을 이해시킨다.
초음파검사기술학(I) (Ultrasonography Technoiogy(I))
초음파 진단 장치의 정확한 동작원리 및 조작법 등을 익히고 각 장기별 검사 기술을 함양시키는데 있다.
해부생리학(II) (Anatomical & Physilogy(II))
인체를 구성하는 세포, 조직 및 기관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한 지식을 통하여 생체내에서 일어나는 생명현상에 대한 기전을 학습하고 임상질환의 병태 생리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기초의학 지식을 학습한다.
사지영상학실습 (Upper/Lower Radiography Pratice)
임상에서 환자를 진단하는데 필요한 팔다리의 각 부위별 X선 촬영법을 중심으로 기본 지식을 갖추고, 각종 질환에 유용한 촬영 방법의 목적과 촬영 자세, 해부학적 명칭을 숙지하는데 목표를 둔다.
사지영상학 (Upper/Lower Radiography)
임상에서 환자를 진단하는데 필요한 팔다리의 각 부위별 X선 촬영법을 중심으로 기본 지식을 갖추고, 각종 질환에 유용한 촬영 방법의 목적과 촬영 자세, 해부학적 명칭을 숙지하는데 목표를 둔다.
공중보건학 (Public Health)
건강 문제와 인간의 행위와의 관계를 분석하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건강행위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건강의 형성, 지역사회 보건 사업을 위한 보건 사업적 요소를 파악하고 그 접근 방안을 모색하여 기본 원리와 기술을 습득한다.
방사선생물학 (Radiation Biology)
의학과 보건학 분야에서 방사선을 통한 암의 치료와 임상진단 규명뿐만 아니라 세포 내 생체물질의 합성과 분해를 측정하는 생물학은 필수적 기초 학문이며, 이를 통해 인체의 생물학적 변화와 구조의 기능을 이해한다.
방사선치료실습 (Radiation Teraphy Pratice)
방사선 에너지를 종양 치료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세포와 에너지의 관계 및 장비를 이용한 치료 게획과 특징을 습득한다. 치료 계획에 관련된 여러 임상증례를 통해서 선량 분포나 정상조직의 장해 정도를 분석한다.
핵의학검사기술학(I) (Nuclear Medicine Technoiogy(I))
핵의학 검사에 필요한 방사성의약품, 핵의학기기와 사용 기술을 이해시키고 인체 각 부위, 장기의 in-vivo 핵의학 검사 및 치료와 in-vitro 시료 계측에 대해서 학습한다.
방사선치료학(I) (Radiation Teraphy(I))
암의 방사선치료를 위해 방사선 생물학, 종양학, 임상적 치료요법 등 종합적인 만큼 치료에 관련된 모든 분야를 상세하게 이해하며, 치료의 실행 방식과 앞으로의 발전방향에 대해 상세히 알 수 있게 지식을 갖춘다.
핵의학검사기술실습 (Nuclear Medicine Technoiogy Practice)
핵의학 검사에 필요한 방사성의약품, 핵의학기기와 사용 기술을 이해시키고 인제 각 부위, 장기의 in-vivo 핵의학 검사 및 치료와 in-vitro 시료 계측에 대해서 학습한다.
방사선장해방어관계법령 (Law of Radiation Protection)
원자력법과 시행령, 시행규칙에 대한 용어와 관련 자료를 기초로 해서 장해 방어에 대해 학습한다.
초음파검사기술실습(I) (Uitrasonography Practice(I))
초음파 진단 장치의 정확한 동작원리 및 조작법 등을 익히고 각 장기별 검사 기술을 함양시키는데 있다.
두개부영상학및실습 (Skull Radiography & Practice)
두개부의 각 부위별 X선 촬영법을 이해하고 X선 장비를 직접 다루면서 두개부의 각 부위별 X선 촬영의 목적, 촬영 자세, 해부학적 명칭을 이해하고 학습한다.
전산화단층촬영학및실습(I) (Computed Tomography & Practice(I))
CT의 물리학적 원리와 장치의 구조적인 특성을 이해하며 각 장기에 대한 CT 촬영에 있어 특수한 기법과 특수성에 맞는 영상 재구성 기법으로 양질의 진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이론적인 지식과 실무 능력을 키울 수 있다.
자기공명영상학및실습(I) (Magnetic Resonance Imaging & Practice(I))
MRI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해부학적 명칭을 숙지하여 임상에서 필요한 적절한 이미지를 만드는 법을 학습한다.
응용영상학실습 (Applied Imaging Practice)
C-arm, BMD, ESWL, 치과방사선촬영, 이동촬영(Portable) 등 특수촬영법 및 영상 기술의 이론과 실습을 통해 의료 영상 분야에서 필요한 기술과 지식을 학습한다.
방사선계측학및실습 (Radiation Dosimetry & Practice)
방사선의 정확한 계측을 위해 연구하여 방사선을 유효 적절하게 이용하면서 장해를 방지하는데 목적이 있다.
핵의학검사기술학(II) (Nuclear Medicine Technology(II))
핵의학 검사에 필요한 방사성의약품, 핵의학기기와 사용 기술을 이해시키고 인체 각 부위, 장기의 in-vivo 핵의학 검사 및 치료와 in-vitro 시료 계측에 대해서 학습한다.
방사선치료학(II) (Radiation Teraphy(II))
암의 방사선치료를 위해 방사선 생물학, 종양학, 임상적 치료요법 등 종합적인 만큼 치료에 관련된 모든 분야를 상세하게 이해하며, 치료의 실행 방식과 앞으로의 발전방향에 대해 상세히 알 수 있게 지식을 갖춘다.
혈관조영및중재적영상학 (Vascular & Interventional Radiography)
혈관영상학의 이론과 실제 및 중재적 시술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으로 혈관 조영술을 이용한 질병의 진단뿐 아니라 이를 응용한 중재적 시술을 통한 치료방법 등의 지식을 갖추도록 한다.
영상해부학 (Radiological Anatomy)
X선 영상, Sono, MRI 등의 영상을 통해 보이는 인체의 구조와 기능을 학습하며, 인체의 영상 해부에 관한 지식을 습득한다.
초음파검사기술학(II) (Ultrasonography Technology(II))
초음파 진단 장치의 정확한 동작원리 및 조작법 등을 익히고 각 장기별 검사 기술을 함양시키는데 있다.
초음파검사기술실습(II) (Ultrasonography Practice(II))
초음파 진단 장치의 정확한 동작원리 및 조작법 등을 익히고 각 장기별 검사 기술을 함양시키는데 있다.
흉복부영상학및실습 (Technology of Chest/Abdomen Imaging & Practice)
흉복부의 각 부위별 기본 지식을 갖추고, 각종 질환에 유용한 촬영 방법의 목적과 촬영 자세, 해부학적 명칭을 숙지한 후, 촬영법을 X선 장비로 직접 다루면서 이해하고 학습한다.
전산화단층촬영학및실습(II) (Computed Tomography & Practice(II))
CT의 물리학적 원리와 장치의 구조적인 특성을 이해하며 각 장기에 대한 CT 촬영에 있어 특수한 기법과 특수성에 맞는 영상 재구성 기법으로 양질의 진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이론적인 지식과 실무 능력을 키울 수 있다.
자기공명영상학및실습(II) (Magnetic Resonance Imaging & Ptactice(II))
MRI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해부학적 명칭을 숙지하여 임상에서 필요한 적절한 이미지를 만드는 법을 학습한다.
방사선캡스톤디자인 (Radiation Capstone Design)
학생들이 배운 이론과 지식을 실제로 적용하고, 문제 해결 능력과 창의성을 발휘하며, 실전적인 경험을 쌓고, 현실적인 과제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과 해결 능력을 배양한다.
방사선사 현장실습 (Patient Care & Clinical Practice of Radiation)
임상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실습을 통하여 학문적 이론 및 실습을 임상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보건법규 (Health Law)
의료관계종사자로서 요구되는 준법정신을 함양하고, 권익을 신장할 수 있는 관련 규칙을 학습한다.
전기공학 (Electrical Engineering)
의료분야에 관련된 장치와 기기들이 대용량화, 극소형화, 고기능화 되고 있는 현실에서 전기, 전자의 기초개념과 소자들의 기능을 정확하게 이해하는데 목표를 둔다.
진료영상기기 QA (Quality Assurance of Diagnostic Imaging Instrument)
진단용 X선 장치의 정확한 성능 관리를 위해 진단용 방사선 발생 장치의 안전 관리에 관한 규칙에서 정한 검사 기준에 따라 성능 관리에 필요한 필수적인 부분을 학습한다.
투시조영영상학 (Fiuoroscospic Radiography)
투시 조영 영상진단 장치 및 조영제를 이용하여 위장 관계, 간담도계, 비뇨기계, 생식기계, 호흡기계, 골관절계 기타 조영검사 등의 이론과 실제의 체계적인 검사 기술 및 지식을 갖추도록 한다.
치과방사선학 (Dental Radiology)
치과분야에서 진단의 중요한 자료가 되는 영상의 정확한 촬영을 위해 진단방사선 발생 장치에 대한 이론, 필름의 특성, 구강 내외 촬영 원리, 현상 과정과 보관법, 구강의 정상적인 구조물 등에 대해 습득한다.
방사선이론특론 (Radiation Theory Special Theory)
방사선물리학, 방사선계측학, 방사선생물학, 방사선관리학, 전기전자개론, 방사선기기학, 의료영상정보, 해부생리학, 공중보건학, 의료관계 법규 등 방사선 이론에 관한 전체적인 내용을 숙지하고 이해하는데 목적을 둔다.
핵의학영상학특론 (Specialized Nuclear Medicine Imaging)
핵의학이론, 핵의학응용, 핵의학실기 등 핵의학에 관한 총체적인 내용을 다루는 학문으로써, 핵의학의 총론적인 내용을 숙지하고 이해하는데 목적을 둔다.
초음파영상학특론 (Specialized Ultrasound Imaging)
초음파이론, 초음파응용, 초음파실기 등 초음파기술학에 관한 총체적인 내용을 다루는 학문으로써, 초음파기술학의 총론적인 내용을 숙지하고 이해하는데 목적을 둔다.
조영영상학특론 (Specialized Contrast Imaging)
조영영상학이론, 조영영상학응용, 조영영상학실기 등 조영영상학에 관한 총체적인 내용을 다루는 학문으로써, 조영영상학의 총론적인 내용을 숙지하고 이해하는데 목적을 둔다.
전산화단층영상학특론 (Specialized Computed Tomography Imaging)
전산화단층영상학이론, 전산화단층영상학응용, 전산화단층영상학실기 등 전산화단층영상학에 관한 총체적인 내용을 다루는 학문으로써, 전산화단층영상의 총론적인 내용을 숙지하고 이해하는데 목적을 둔다.
자기공명영상학특론 (Specializ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자기공명영상학이론, 자기공명영상학응용, 자기공명영상학실기 등 자기공명영상학에 관한 총체적인 내용을 다루는 학문으로써, 자기공명영상학의 총론적인 내용을 숙지하고 이해하는데 목적을 둔다.
방사선치료학특론 (Specialized Radiation Therapy)
방사선치료에 대해 깊이 있는 학습과 연구를 수행하는 과목으로 방사선치료학에 관한 총체적인 내용을 다루는 학문으로써, 방사선치료학의 총론적인 내용을 숙지하고 이해하는데 목적을 둔다.
방사선영상학특론 (Specialized Radiologic Imaging)
방사선영상학이론, 방사선영상학응용, 방사선영상학실기 등 방사선영상학에 관한 총체적인 내용을 다루는 학문으로써, 방사선영상학의 총론적인 내용을 숙지하고 이해하는데 목적을 둔다.
응용초음파영상학 (Applied Uitrasound Technoiogy)
초음파에 대한 기본 지식을 갖추고, 초음파 장비를 직접 다루면서 질환을 이해하고, 정확하게 검사하고 판독하는데 목적을 갖는다.
원자려기초이론 (Basic Theory of Atomic Energy)
방사선, 방사성동위원소 및 원자력 관련 기초이론을 익히고, 방사선 차폐 및 방사선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시킨다.
방사선학특론(I) (Special Theory on Radiology(I))
방사선 일반학적 촬영법을 비롯하여 투시조영, 혈관조영, 초음파진단, CT, MRI, 핵의학시술, 방사선치료 등 방사선 검사법 및 치료법에 관한 최신 이론을 학습하고 그 적용 기술을 습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임상학특론 (Advanced Clinical Science)
방사선학적 검사와 치료 과정의 이해를 위해 해당 질병의 원인과 검사 과정 및 영상 결과에 관한 기본 지식을 학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사선환자케어실습 (Patient Care in Radiology)
의료 서비스에 대한 국민과 나라의 관심이 질적 측면으로 전환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여 실질적인 환자에게 의료 서비스를 위하여 환자 응대, 병실 촬영, 조영제 대책 등 이론과 실례를 통해 학습한다.
방사선취급기술학특론 (Advanced Radiation Instruction Technology)
방사성동위원소 및 방사선의 취급과 측정기술을 익히기 이해 방사선 검출기의 종류 및 특성 등을 이해하고 각종 방사선의 선량 및 방사능의 측정, 계측 통계 방법을 학습한다.
병원비즈니스실습 (Hospital Busness Practice)
임상의료 현장에서 원무, 행정, 관리 등 환자 진단 영역 이외의 올바른 이해를 위해 의료보험 및 병원 행정 분야를 학습함으로써 폭넓은 지식을 함양하는데 목적을 둔다.
방사선장해방어특론 (Advanced Radiation Damage Protection)
방사선방어의 목적, 피폭의 방어 원칙 및 선량 제한에 관한 기본 원칙, 철학, 배경을 제시하고 장해 방어에 적합한 권고안을 이해함으로써 방사선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학습하고 습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사선학특론(II) (Special Theory on Radiology(II))
방사선 일반학적 촬영법을 비롯하여 투시조영, 혈관조영, 초음파진단, CT, MRI, 핵의학시술, 방사선치료 등 방사선 검사법 및 치료법에 관한 최신 이론을 학습하고 그 적용 기술을 습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사선기기재료 (Radiation Equipment Materials)
전기전자 회로와 컴퓨터의 원리를 이해하고, 원활한 취급 관리를 위해 전기의 특성을 이해하며 나아가 X선 장치의 기본적인 회로 구성과 그 특성을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